본문 바로가기

기타/영상학

영상 촬영 기법 용어

페이드 (Fade)

F.I (Fade In): 화면이 어두운 화면에서 점점 밝아지며 장면이 시작되는 효과

F.O (Fade Out):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며 장면이 끝나는 효과

C.F (Cross Fade): 두 장면이 부드럽게 겹쳐지며 전환되는 효과 (Dissolve, 디졸브 라고도 함)

Wife: 앞의 화면이 스크린의 한쪽으로 사라지면서 두 번째 화면이 그 뒤를 이어 나타나는 장면 전환 기법.

 

컷과 트랜지션 (Cut & Trasition)

J.C (Jump Cut): 같은 구도에서 시간의 흐름을 건너뛰는 편집 기법.

M.C (Match Cut): 두 개의 장면이 시각적 또는 개념적으로 연결되도록 컷을 맞추는 편집.

S.C (Smash Cut): 갑작스럽게 대비되는 장면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기법.

IRIS: 스크린의 한 가운데 점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는 장면전환 기법. 대표적으로 영화 007의 카메라 셔터를 이용한 오프닝

LCUT: 오디오 베이스의 전환으로 어느 장면에서 소리가 나는 것이 다른 장면에서도 나며 장면이 이어지는 것
JCUT: 장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장면의 소리를 미리 들려주어 두 장면을 자연스럽게 잇는 것

Smash Cut: 강력한 소리나 이미지로 관객에서 충격을 주는 것, 조용->시끄러운 혹은 시끄러운->조용 장면으로 이동

Cross Cutting: 교차 편집, 같은 시간 다른 장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서로 맞물리게 편집하는 것 
Insert Shot: 장면 사이에 아주 짧은 순간 한 장면을 끼워 넣어 긴장감 고조. 스토리텔링 더 보완

카메라 움직임(Camera Movement)

Pan: 카메라가 좌우로 회전하는 움직임.

Tilt: 카메라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회전.

T.D (Tracking Dolly): 카메라가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는 기법.

H.S (Handheld Shot): 삼각대 없이 손으로 들고 촬영한 장면.

S.S (Steadicam Shot): 스테디캠을 사용해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촬영한 장면.

화면 구성 및 기타(Screen Composition & Effects)

O.T (Over The Shoulder): 한 인물의 어깨 너머에서 다른 인물을 촬영하는 구도.

P.O.V (Point of View): 특정 캐릭터의 시점에서 촬영한 장면.

D.O.F (Depth of Field): 초점이 맞는 피사체와 흐려지는 배경의 관계.

V.F.X (Visual Effects): CGI나 합성을 활용한 시각적 효과.

G.B (Green Background, Chroma Key): 초록색 배경을 사용한 합성 촬영.

Freeze Frame: 한 시퀀스의 끝이나 영화의 엔딩을 마무리하는데 사용. 잘 움직이다가 마지막에 사진처럼 정지한 상태

'기타 > 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fps / 29.97 fps / 24fps ...  (0)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