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눈높이에 따른 투시 Eye Level에 따른 물체의 이동 또한 이미지 속의 특정 대상이 Eye Level에 맞춰서 있다면 해당 대상이 앞뒤로 움직일 때 대상의 Eye Level은 고정되고 카메라의 Eye Level에서 아래로만 변화가 생길 것이다. 아래 이미지에서 바퀴 달린 캐비넷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Eye Level)를 설정하였다. 이 경우 캐비넷을 카메라 쪽으로 당기면 Eye Level에 걸쳐있는 캐비넷의 윗면은 고정되지만, 바퀴쪽은 더 아래로 당겨질 것이다.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소실점원본 이미지:https://www.pexels.com/photo/brown-cardboard-boxes-on-white-wooden-cabinet-4554249/위 그림에서 상자들은 바닥에 놓여있지만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 캐주얼 머리카락 그림자 및 하이라이트 캐주얼 그림체는 많은 부분들을 간소화한다.그 중 머리카락은 현실에서도 머리카락을 한 가닥씩 인식하지 않고 어느정도 묶어 인식한다. 이 이미지에서 머리카락을 덩어리로 나눠 인식하면 아래이 묶을 수 있을 것이다.물론 더 세부적이나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말하고자하는 바는 머리카락에서 그림자를 넣기 위해서는 빛의 방향에 따라 생기는 덩어리를 인식해야한다. 이번엔 위 이미지에서 명암을 간단하게 추가로 표시해서 더 쉽게 알아보겠다. 빛을 어느정도 밝게 받는 부분을 붉은색(분홍), 그 외의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는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캐주얼 그림채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이 때 머리카락의 머리결은 사실상 그림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즉, 어느정도의 간격으로 그림자를 통해 머리.. 피부톤 컬러 엉덩이의 윗부분과 가슴 부근은 산소가 없는 혈액이 흐르는 정맥이 있기 때문에 옅은 푸른색을 띈다.무릎과 팔꿈치 등의 간절 부근은 피부가 주름이나 마찰같은 이유로 어두운 피부를 가진다손 끝이나 귓바퀴 부근은 산소가 풍부한 모세혈관이 지나가기 때문에 붉은 피부를 가진다. 2024.04.24 - [그림] - 얼굴의 컬러 존 얼굴의 컬러 존 이마는 모세혈관이나 근육이 적어 밝은 금색을 띈다. 귀와 뺨 코등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는 모세혈관이 표피부근에 모여 있어 붉은 색을 띈다. 입술부근의 하관은 산소가 빠진 파란혈관이 많아 푸른색을 띈다. 수염이 없는 여성이나 아이의 경우에 하관은 푸른색이 잘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성인 남성의 경우 수염에 의해 푸른색이 어느정도 가려지기 때문이다. 손가락 각도 손을 그리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손가락 각도이기도 하다. 현실에서 손을 보면 손가락 관절을 A와 B로 나눌 수 있다.(엄지 제외) 그러면 어떠한 경우에도 인위적인 외부 힘이 없는 경우엔 B관절의 각이 A 관절의 각보다 항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손을 보다 쉽게 그리는 방법 중 하나는 A관절만 그리고 B관절은 없애는 것이다. 이게 무슨뜻이냐면 위 그림의 약지를 보면 B가 거의 180°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림을 보는 입장에서는 이게 틀리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약지가 아닌 손가락들도 B관절이 180°인 상태에 A관절만 각도가 변하는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B관절을 생략하는 방법은 꽤 좋은 방법이다. 해상도 (DPI) 해상도는 그림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인치(PPI)당 화소나 점의 수(DPI)로 표시한다. 같은 크기의 그림에서 해상도가 높을수록 선명하고 깨끗하나 그림 파일의 용량이 커진다. 해상도는 이미지 해상도와 화면 해상도로 구분할 수 있다. 1) 이미지 해상도 : 하나의 그림(비트맵 방식)을 이루는 화소 수의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2) 화면 해상도: 모니터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 수를 나타낸다. ex. 1980 x 1080, 4k모니터 그러면 DPI 설정을 알아보겠다. 72 DPI는 72*72 = 5184 픽셀을 포함한다. DPI(Dots Per Inch) 설정과 캔버스 크기(pixel)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DPI는 인치당 픽셀의 밀도를 나타내는 측정 단위이며, 캔버스 크기는 픽셀로 표시되는 .. 조명 기법 - 렘브런트 조명 이렇게 얼굴에 그림자가 생긴 그림을 본적이 있는가? 볼쪽에만 역삼각형의 빛이 들어오는 그림이다. 필자는 이런 형태의 조명 효과를 처음 봤을 때 어떻게 이런 그림자가 생기는지 생각했다. 그리고 이 글을 쓰는 시점 이런 조명효과가 명칭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먼저 원리부터 말하자면 빨강 : 코 그림자 초록 : 광대뼈 그림자 파랑 : 얼굴 그림자 이렇게 3개 혹은 눈 밑 그림자까지 해서 4개의 그림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조명이다. 그러면 광원의 위치는 어떻게 해야하는걸까? 자료를 찾아보니 측면으로 45°, 눈높이보다 살짝 높게(30cm~60cm) 설정하면 위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사이트 추천 - Line of Action https://line-of-action.com/ 위 사이트는 이 글의 제목인 크로키 목적 뿐만아니라 동물, 표정등 다양한 자료들이 무료로 풀려있어서 무엇을 연습하던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아래 이미지들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뜨게 된다. 해석해보자면 1. 옷을 입고 있을것인지, 성별은 무엇으로 할건지, 나이는 어느정도로 할건지 2. 두번째는 사실 많이 안써봐서 잘 모르겠다. 아마 문장에 warm-up과 ease가 있는 것을 보아 처음에는 쉽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복잡한 그림을 주는 것 같다. 필자는 All the same length로 설정하고 사용한다. 3. 한 그림당 얼마나 그릴것인지 이렇게 자신에게 맞는 값들을 입력하고 아래'Get Drawing!"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시작된다.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