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주얼 그림체는 많은 부분들을 간소화한다.
그 중 머리카락은 현실에서도 머리카락을 한 가닥씩 인식하지 않고 어느정도 묶어 인식한다.

이 이미지에서 머리카락을 덩어리로 나눠 인식하면 아래이 묶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더 세부적이나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말하고자하는 바는 머리카락에서 그림자를 넣기 위해서는 빛의 방향에 따라 생기는 덩어리를 인식해야한다.
이번엔 위 이미지에서 명암을 간단하게 추가로 표시해서 더 쉽게 알아보겠다.
빛을 어느정도 밝게 받는 부분을 붉은색(분홍), 그 외의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는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캐주얼 그림채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머리카락의 머리결은 사실상 그림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즉, 어느정도의 간격으로 그림자를 통해 머리카락을 구분하는지에 따라 머리결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머리카락의 덩어리를 곡면을 가진 도형으로 간단하게 표현한 그림이다.
머리카락이 덩어리로 표현될 때 이웃한 덩어리의 그림자를 통해 앞에 그보다 앞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덩어리의 형체를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하이라이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빛의 방향을 생각하여 머리카락 덩어리의 곡률과 어느정도의 두께감인지에 따라 밝게 칠할 면적을 구분하고 그 사이에 그림자를 추가하여 덩어리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이보다 더 자세하게 묘사한다면 실사의 머리카락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높이에 따른 투시 (0) | 2025.02.25 |
---|---|
조명 기법 - 렘브런트 조명 (1) | 2024.01.30 |
투시의 종류 (4점, 5점 투시) (2) | 2024.01.19 |
그림 기법 - Infinite Zooming (0) | 2024.01.19 |
캐릭터 설정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