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개발

(21)
QA란? Quality Assurance의 약자로,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기 전 테스트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주로 맏고 있다. 이 블로그에서는 게임 QA와 관련된 내용을 QA로 지칭할 예정인데 QA는 게임말고도 서비스가 필요한 웹사이트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에서도 꼭 필요하다. 게임 QA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기획서에 기술된대로 구현됐는지 확인하는 Technical QA와 게임에 반영된 컨텐츠를 테스트하여 재미가 있는지, UI의 시인성은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Fun QA가 있다.
Roblox Studio - 구성 요소 이번 글에서는 Roblox Studio의 탐색기에서 볼수 있는 요소들을 정리해보겠다. 1. Workspace 2. Players 게임에 참가한 플레이어들이 들어간다. 실제 Part로 들어가는 것이 아닌 데이터 형식으로 들어가게 된다. 플레이어의 인벤토리인 Backpack과 후술할 PlayerGui, PlayerScripts가 플레이어마다 할당된다. 3. Lighting 월드에 적용할 빛과 관련된 이펙트 및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4. MaterialService 게임 내 재질을 설정할 수 있다. 5. NetworkClinet 이 서비스는 클라이언트를 서버에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말이 네트워크 관리이지 거의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조작하지 않아도 관계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Roblox Studio - 절대접근 상대접근 위 글의 제목은 절대위치와 상대위치라는 파일 개념에서 착안하여 지었다. 그래서 정식명칭은 기억하지 못한다. 각설하고 파일시스템과 같이 절대접근은 game에서부터 시작해서 접근을 하는 것이다. 현재 게임의 구성이 다음과 같을 때 Findme 파트를 절대접근을 사용해 찾는다고 한다면 local Part = game.Workspace.Folder.Findme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대접근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먼저 현재 작성중인 스크립트를 Script라고 한다면 Script의 현재 위치로부터 찾는 것이다. local part = script.parent.Folder.Findme 위 코드를 해석하자면 아래와 같다. script는 자신을 지칭하고 script.parent는 스크립트의 부모인 ..
BTS ITS 게임 QA 용어이다. BTS는 Bug Tracking System의 줄인 말로, 버그 추적하여 고치는 시스템이다. 개발 단계에서 발견된 버그나 이슈들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슈 추적 시스템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ITS는 (Issue Tracking System)는 줄임말로 이슈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슈는 버그를 포함하는 용어이지만 둘을 동의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프로그램의 버그등을 추적하기 위해 디버그/디버깅으로 버그를 잡는 것을 얘기한다. BTS와 ITS는 Jira와 Remine을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Roblox Studio - 부모 자식 관계 로블록스 스튜디오에서 스크립팅을 할 때 꼭 필요한 것중 하나는 부모와 자식관계이다. 위 그림에서는 Part안에 ParentScript, 또 ParentScript안에는 ChildScript가 있는데, Part를 제외하고 생각하면 ParentScript, ChildScript이 두 개가 있다. 여기서 ChildScript가 ParentScript안에 귀속되어 있는데, ChildScript관점에서 보면 ParentScript는 부모 스크립트, ParentScript에서 보면 ChildScript는 자식 스크립트이다. 스크립팅을 하며 ChildScript에서 Part를 불러오고 싶다면 Parent를 사용해서 가능하다. local Part = script.parent.parent local을 사용해서 Part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