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타듀벨리 세이브파일 구조 세이브 파일 경로 : C:\Users\'유저이름'\AppData\Roaming\StardewValley 여기에서 'Saves'에 들어간다. 그러면 '농장 이름'_'알 수 없는 번호'를 볼 수 있다. 여기서 한번 더 농장 이름 폴더로 들어가면 아래 구조를 볼 수 있다. 스타듀벨리 게임의 로컬 세이브파일 구조는 XML구조이다. notepad++를 사용해서 파일을 뜯어보겠다. 확인해보면 1줄로 읽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툴을 사용해서 봐보겠다. 사용한 툴:https://jsonformatter.org/xml-viewer그러면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더 이쁘게 볼 수 있는데, 전반적인 플레이어의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이런식으로 플레이어가 입고 있는 아이템이나 fileName 플레이어가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의 개수.. 손가락 각도 손을 그리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손가락 각도이기도 하다. 현실에서 손을 보면 손가락 관절을 A와 B로 나눌 수 있다.(엄지 제외) 그러면 어떠한 경우에도 인위적인 외부 힘이 없는 경우엔 B관절의 각이 A 관절의 각보다 항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손을 보다 쉽게 그리는 방법 중 하나는 A관절만 그리고 B관절은 없애는 것이다. 이게 무슨뜻이냐면 위 그림의 약지를 보면 B가 거의 180°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림을 보는 입장에서는 이게 틀리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약지가 아닌 손가락들도 B관절이 180°인 상태에 A관절만 각도가 변하는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B관절을 생략하는 방법은 꽤 좋은 방법이다. Police Code 미국 경찰들의 바디캠등을 통해 접한 영상에서 드물지 않게 코드를 통해 소통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아래 이유등에 의해 사용된다. 1. 능률 코드는 완전한 문장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10-33"은 "긴급, 모든 유닛 대기"보다 빠르다. 2. 기밀성 코드를 사용하면 범죄자가 경찰 통신을 이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경찰 업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3. 라디오 잡음 코드는 시간을 절약하고 효과적인 통신이 무선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한다. 만약 실제로 미국 경찰들이 사용하는 영상을 보고 싶다면 유튜브에 'police body cam case' 이런식으로 검색하면 다양한 영상을 볼 수 있다. 각 코드에 따른 내용은 주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범용적인 코드도 존재한다. 위 표.. 일조권 사선제한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1%B4%EC%B6%95%EB%B2%95 제 61조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건물들을 보다보면 가끔 아래 그림에서 A처럼 바르게 짓지 않고 B처럼 계단형식으로 지은 건물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처음에는 필자도 건축가가 미학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방법인줄 알았으나 이와 관련된 규정이 있었다. 이는 이 글의 제목이기도한 일조권 사선제한이며, 건축물이 햇빛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일조권)를 보호하기 위해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높은 건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물 옆에서 해를 다 막고 있다면 낮은 건물에서는 해를 받지 못할것이다. 따라서 높은 건물을 계단형식으로 깎아 낮은 건물에게도.. 의사코드 의사코드(pseudocode)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 의사코드는 말 그대로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기술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엄밀한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이 있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가 컴퓨터 언어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 엄밀한 묘사가 불필요한 부분에는 자연어가 자유롭게 쓰이기도 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냉장고의 음식을 꺼.. 상태표기 H3O+(aq) 와 같은 식에서 (aq)는 해당 분자의 상태를 말해준다. (g): gas (가스) (aq): aqueous (수용액) (s): solid (고체) (l): liquid (액체) (v): vapor (증기) (c): crystal (결정) 곱셈이 나눗셈보다 빠른 이유 컴퓨터의 ALU에서 연산을 수행할 때 컴퓨터는 덧셈이던 뺄셈이던 곱셈이던 나눗셈이던간에 간단히 말하자면 덧셈으로 모두 해결가능하다. 뺄셈의 경우엔 피연산자를 2의 보수로 치환하여 -형식으로 바꿔 둘이 더하는 형식이다. 곱셈의 경우엔 1001(9) * 11(3) 이라고 했을 때 각 자리 수를 계산한 값을 모두 합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더 편한 방법으로는 왼쪽으로 shift연산을 돌리면 해결되기도 한다. (이 경우엔 2의 배수를 곱하는 경우에만 성립한다.) 나눗셈의 경우엔 곱셈과 반대로 지속적으로 나누는 값으로 나누려는 값을 빼면된다. 하지만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곱셈의 경우엔 이전에 계산했던 값을 알 필요가 전혀 없다. 위에서 예를 들었 듯, 1001 * 11 은 각 자리수를 ALU내부에서 모.. Datapath Datapath는 ALU, 레지스터 세트 및 이들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CPU의 내부 버스이다. 쉽게 말해 ALU에 첫번째 인자는 어떤 부분에서 가져오는지, 결과는 어디로 가는지 하나하나 정한게 Datapath라고 기억하면 될듯하다.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