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16)
Cakewalk에서 Pitch 와 Frequency 조절하기 Cakewalk에서는 Pitch를 Automation으로 조절할 수 없다. Process에서 Transpose를 사용하는 것이 유일하게 Cakewalk의 내장 기능으로 할 수 있는데, 그럼 Automation으로 어떻게 Pitch를 조절할 수 있을까? 이번에도 외부 플러그인을 사용해야한다.아래 플러그인은 GRAILLON 플러그인으로, 안에 Pitch Shift 기능이 들어있다.https://www.auburnsounds.com/products/Graillon.html 위 사이트에서 'Free Edition'을 눌러 설치하면 끝난다. 이 플러그인에는 여러 기능이 존재하는데, 좌측 하단에 Pitch-Shift 기능이 있다. https://kilohearts.com/products/kilohearts_esse..
사운드 에셋 사이트 추천 게임을 제작하다보면 사운드 에셋이 많이 필요하지만 arlist.io같은 사이트의 경우엔 하나의 bundle로 사운드를 제공하지 않고 하나하나 낱개로 제공하기 때문에 찾아보기 번거롭다.이번 글에서 소개할 사이트에서는 게임 개발에 필요한 에셋을 zip파일로 번들로 제공한다.https://sonniss.com/gameaudiogdc 위 링크에 접속하면 일단 검은색 화면이 보일텐데, 당황하지 않고 휠을 사용해 아래로 내린다.이 사이트는 특이하게 세로로 긴 형태를 하고 있어서 아래로 내려야 내용이 보인다. 이렇게 아래로 내리면 ~~.zip 이 보일텐데 연도에 따라 에셋을 제공하고 있다.하지만 하나의 zip파일로는 너무 용량이 크기 때문에 위와 같이 ~~Par1of5.zip , ~~Par2of5.zip 과 같이 여..
공장 게임에서 컨베이어 위 아이템 관리 방식의 특징 대부분의 공장 게임은 컨베이어 위의 아이템들에게 Collider를 적용해서 물리적으로 관리한다.하지만 다른 예로, 컨베이어 위의 아이템들을 Collider를 적용하지 않고 겹치게 설정할 수도 있다.그럴 경우에는 한 지점에 여러 아이템이 겹쳐있을 수 있다.Collider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컨베이어 위의 아이템들은 한 지점 위에 겹쳐있을 수 있다.이 방식은 컨베이어의 속도에 따라 초당 아이템 이동 수가 제한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유저가 제한 없이 아이템을 하나의 컨베이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반면 Collider가 있을 경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아이템이 컨베이어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속도와 초당 아이템 이동 수는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Collider가 있을 ..
공장 게임에서의 아이템 분배 방식 결정 공장 게임에서 자원을 분배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Balacing과 Manifold이다. 간단하게 비유하자면 Balancing은 병렬, Manifold는 직렬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사실 이렇게 용어로 정의하는 것도 크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왜냐하면 게임을 하다보면 알아서 습득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BalancingBalacing은 말 그대로 모두 균일하게 아이템을 분배하는 것이다.맨 위에서 아이템이 들어올 때 분배 기능을 통해 각 분기마다 필요한 출력의 개수 만큼 나눈다. 위 그림의 경우 1개의 input을 4개의 output으로 쪼갰으며, 이에 따라 각각 25%씩 아이템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분배 설계가 큰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간을 최적화 ..
Obsidian -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랜덤 노트 옵시디언을 사용하다가 '코어 플러그인'을 돌아보던 중 '랜덤 노트'라는 기능을 알게되었다. 사실 매우 간단한 기능인데, 간단하지만 생각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설정에서 코어 플러그인 -> 랜덤 노트를 활성화 시키면 화면 좌측 패널(플러그인 관리)에 주사위 모양의 아이콘이 하나 생긴다. 이 버튼을 그냥 누르기만 하면, 자신이 이때까지 이 Vault에 생성했던 노트들을 랜덤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노트들을 일단 주제라고 생각하고 마구 만든 다음 하나씩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작성하는데, 이 방법의 단점이 어떤 노트를 적다가 까먹으면 영영 잊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잊혀졌던 노트들을 하나씩 꺼내서 볼 수 있다. 내가 어떤 것에 정리를 했다가 미처 작성을 ..
Python Tutor - 코드 시각화 사이트 https://pythontutor.com/visualize.html#mode=edit 사이트 이름부터 Python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사실 더 많은 언어를 지원한다. 그 언어에는 C와 JS, Java도 있기 때문에 대부분 코딩을 처음 시작 하는 사람이라도 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사용은 간단하다.사이트에 접속 후 아래 창에 코드를 입력하기만 하고 Visualize 버튼만 누르면 모든 준비가 끝난다. 위와 같이 코드를 한 줄 씩 실행하며 각 단계에서 어느 변수가 어느 메모리를 가르키며 코드를 진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이 사이트를 통해 포인터의 개념에 대해서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버튼이 First, Prev, Next, Last 네 종류가 있으..
몬스터 헌터 - 모드 폴더 일단 모드는 Nexus라는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하면된다.https://www.nexusmods.com/monsterhunterworld Mods :: Monster Hunter: WorldBrowse 5,997 mods for Monster Hunter: World at Nexus Modswww.nexusmods.com다운로드모드 탐색 페이지에서 마음에 드는 모드를 찾았다면 FILES를 눌러 모드의 파일을 받을 수 있는 창으로 넘어간다.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버전의 모드를 MANUAL DOWNLOAD를 눌러 다운받는다.이 창에서는 SLOW DOWNLOAD를 눌러 다운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SLOW DOWNLOAD는 무료이며, 생각보다 느리지 않기 때문에 크게 상관없다.그럼 이렇게 zip파일을 받을 수 있..
osu! 시작하기 https://osu.ppy.sh/일단 계정을 게임을 다운로드 한 후에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해서 osu!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시킨다. 그럼 이 창에서 계정 만들기를 클릭한다. 이제 이 필드들을 모두 채운 후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하고, 아까 osu 웹사이트에서도 동일하게 로그인한다. 가운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옵션이 표시된다.이 때 Edit은 새로운 게임 맵을 만들 때 필요하며, 일단 게임을 플레이 하는 입장에서는 필요없다.플레이플레이는 싱글과 멀티가 있다. 먼저 싱글이다.다음과 같이 UI가 배치되며, 곡은 인터넷에서 받아와야한다.https://osu.ppy.sh/beatmapsets여기에서 '비트맵'에 들어간 후 자신이 원하는 곡을 받아올 수 있으며, 검색을 통해 원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