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20)
Vital - Parameter 설명 이번 글에서는 Vital의 기본 설정 용어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Vital의 환경은 Cakewalk이다. Delay : 키를 눌렀을 때 연주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Attack : 키를 눌렀을 때 레벨이 최상까지 증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Hold : 최대 레벨에 도달한 후 최대 레벨이 유지되는 시간이다. Decay : Sustain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다. Sustain: 키를 누르는 동안 사운드를 유지되는 레벨이다. Release : 키에서 손을 뗀 후 레벨이 서스테인 레벨에서 0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정의는 보았으니 실제로 값을 조절하며 확인하겠다. 1. delay 값 변화 2. Attack 값 변화 3. Hold 값 변화 4. Decay 값 변화 5. Sustain 값 변화 6. ..
Obsidian 에서 사용되는 Markdown 문법 Heading #의 개수에 따라 헤딩 변경이 가능하다. '#'을 입력 후 한 칸을 띄고 내용을 써야 적용되며, 그렇지 않을경우 '태그'로 적용된다. #은 최소 1개부터 최대 6개 까지 사용될 수 있으며, html언어의 ~ 까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글머리 기호 ' - ' 기호를 넣고 한칸을 띄고 내용을 써야 적용된다. 현재 글도 ' - ' 기호의 글머리 기호가 적용된 상태이다. ' 1. ' 과 같은 순번을 적고 한칸을 띄운 후 내용을 적으면 숫자 기호가 적용된다. Tab : 들여쓰기 Shift - Tab : 내여쓰기 체크 리스트 단축키 : Ctrl + L 체크리스트가 생성된다. 단축키가 아닌 텍스트로 입력하고 싶다면 '- [ ]' 을 입력하면 체크되지 않은 체크리스트가 생성된다. '-[x]'를 입력하면 체..
현악기의 연주기법 데타셰(Détaché) 음이 바뀔 때마다 활의 방향을 바꿔 연주하는 기법 레가토(Legato) 음와 음 사이가 끊기지 않도록 연주 마르카토(Marcato) 음과 음 사이를 끊어 연주 악센트를 주는 것처럼 연주 루레(Loure) 레가토 주법이지만 활을긋고 있는 동안 음을 조금씩 끊어 연주 스피카토(Spiccto) 현의 탄력을 이용하는 기법 빠르고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 피치카토(Pizzcato) 현을 손가락으로 튕겨 연주하는 기법 가볍고 즐거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 하모닉스(Harmonics) 현에 가볍을 손을 대고 연주하여 배음이 증폭된 음색 곡의 시작이나 sub. p, 사막의 신기루 표현 등에 사용될 수 있음 이음줄 트레몰로(Slured Tremolo) 음높이가 장2도를 넘어서는 두 음을 ..
4중주와 악기 교체 음악에서는 4중주라는 것이 존재한다. 각각 소프라노, 테너, 알토, 베이스가 존재하며 이들은 음의 높낮이로 분류된다. 현악기에서는 소프라노-바이올린, 테너-비올라, 알토-첼로, 베이스-더블베이스로 알 수 있다. 또한 금관악기에서는 소프라노-트럼펫, 테너-혼, 알토-트럼본, 베이스-튜바 이다. 그렇다면 이 글의 두번째 주제인 '악기 교체'는 여기서 일어난다. 4중주는 소프라노, 테너, 알토, 베이스를 말하는데, 각각 서로 다른 악기의 종류(목관악기, 현악기, 금관 악기 등등)가 같은 레벨의 소리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악기와 교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바이올린은 소프라노 음을 내기 때문에 금관악기에서는 트럼펫과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서로 음이 맞지 않는 바이올린과 혼을 교체하려면 음 높이가 차이가 ..
MS word 단축키 MS word 사용 시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를 정리하였다. 단, 필자의 기준으로 가장 자주 사용하고 유용했던 주관적인 기준이므로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면 추가로 검색해야할 수고가 필요하다. 또한 Ctrl + S (저장)과 같이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단축키는 제외하였다. Ctrl + F2 인쇄 미리보기 Ctrl + Enter 단 나누기 Alt + Shift + T 현재 시간 삽입 Ctrl + J 양쪽 정렬(좌측 정렬) Ctrl + E 가운데 정렬 Ctrl + R 왼쪽 정렬 Ctrl + B 굵게 Ctrl + I 기울이기 Ctrl + U 밑줄 Ctrl + [ 글꼴 1pt 증가 Ctrl + ] 글꼴 1pt 감소 Alt + Shift + 화살표(위, 아래) 단락 이동 Alt + Shift + 화살표(좌, 우) ..
윈도우 스크린샷 바로 저장하기 필자는 Win + Shift + S로 스크린샷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다만 유일한 단점이라면 붙여넣기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넣는 등)에는 불편하다는 점이다. 그럴 때마다 그림판에 붙여넣고 오리고 저장하고를 반복했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윈도우 자체에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 존재했다. 찾는 방법은 'Everything'프로그램이 있으면 편하다. https://www.voidtools.com/ko-kr/support/everything/installing_everything/ everything을 열고, 검색창에 'screenclip'을 검색하면 이렇게 상단에 한 폴더가 보인다. 만약 같은 이름의 폴더가 여러개라면 \Appdata\Local\Packages\Micro..
GLSL 접근 제어자 ( in, out, inout ) in: 입력 변수를 나타낸다. 이 변수는 셰이더로 데이터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정점 셰이더에서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는 in으로 선언될 수 있다. in vec3 position; out: 출력 변수를 나타낸다. 이 변수는 셰이더에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정점 셰이더에서 정점의 위치를 처리한 후, 이를 프래그먼트 셰이더로 전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out vec3 fragmentColor; inout: 입출력 변수를 나타낸다. 이 변수는 셰이더로 데이터가 입력되고 처리된 후 결과가 다른 곳으로 출력될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geometry shader에서 사용되며, geometry shader에서 입력 기하 형태를 조작하고 수정한 후에 출력으로 전달할 때 사용한다. inout vec3 ge..
윈도우 CMD로 네트워크 비밀번호 확인 주의: 이 글은 비밀번호를 모르는 네트워크의 비밀번호를 해킹하는 글이 아니다. 그저 공유기가 멀거나 찾으러 가기 귀찮을 때, 내 컴퓨터가 인터넷 연결은 돼있지만 비밀번호를 잊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들. 0. 모바일 제외(데스크탑, 노트북만. cmd 사용해야하기 때문) 1. 해당 네트워크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서 연결할 수 있어야함. 2.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어어함.(LAN선 X) 명령어 1. netsh wlan show profile 현재 기기에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프로필 출력 2. netsh show profile '네트워크 이름' 해당 네트워크의 정보 표시 3. netsh wlan show profiles '네트워크 이름' key=clear 해당 네..